실제 협력에 참여하는 주체는 객체
협력의 품직은 객체의 품질에 의해 정해진다.
(바리스타로 뽑은 사람이 능력이 없으면 카페 운영이 제대로 안되는 것과 같다)
협력공동체에서의 객체의 덕목
- 협력적(개발적)이여야 한다 - 혼자 다하려면 복잡도가 높아서 파멸의 길로..
- 자율적이여야 한다. - 요청에 응답을 하는데 어떻게 할지는 객체가 스스로 정한다.
객체 = 상태 + 행동
객체가 자율적인 존재로 남고 싶다면 필요한 행동과 상태를 함께 지녀야한다.
전통적인 개발방법은 데이터와 프로세스를 철저히 분리하지만 객체지향은 객체안에 데이터와 프로세스가 함께 공존한다.
협력적인 개체들은 오직 메세지로만 의사소통이 가능한다.
객체가 수신된 메세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메서드라고 부른다.
메시지(What-요청받은 것)와 메서드(How- 요청을 어떻게 처리할지)의 분리로 자율성이 증대한다.
ex) 커피 제조 → 커피 머신으로도 할 수 있고 핸드 드립으로도 할 수 있다.
객체지향 정리
- 협력, 역할, 책임
- 자율적인 객체들의 공동체
- 자율적인 객체는 상태와 행위를 가진다.
- 메세지로 의사소통을 하고 메세지를 처리하는 방법(메서드)는 자유롭게 선택한다.
객체를 지향하라 ≠ 클래스를 지향하라
현재 객체지향을 공부할 때 클래스가 너무 많이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클래스보다 객체의 협력구조와 책임을 더 중요시 살펴보아야 한다.
'📚 개발자의 서재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 -1 (0) | 2025.03.11 |
---|---|
8/1일 독서 요약 (0) | 2024.08.01 |
07/30일 독서 (0) | 2024.07.30 |
독서3일차 (객체, 상태, 행동) (0) | 2024.07.23 |
독서 1일차 (0) | 202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