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2일차

2024. 7. 19. 00:38·📚 개발자의 서재/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실제 협력에 참여하는 주체는 객체

협력의 품직은 객체의 품질에 의해 정해진다.

(바리스타로 뽑은 사람이 능력이 없으면 카페 운영이 제대로 안되는 것과 같다)

협력공동체에서의 객체의 덕목

  • 협력적(개발적)이여야 한다 - 혼자 다하려면 복잡도가 높아서 파멸의 길로..
  • 자율적이여야 한다. - 요청에 응답을 하는데 어떻게 할지는 객체가 스스로 정한다.

객체 = 상태 + 행동

객체가 자율적인 존재로 남고 싶다면 필요한 행동과 상태를 함께 지녀야한다.

💡 객체에서의 자율성이란?

자신의 상태를 직접 관리하고 상태를 기반으로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개발방법은 데이터와 프로세스를 철저히 분리하지만 객체지향은 객체안에 데이터와 프로세스가 함께 공존한다.

협력적인 개체들은 오직 메세지로만 의사소통이 가능한다.

객체가 수신된 메세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메서드라고 부른다.

메시지(What-요청받은 것)와 메서드(How- 요청을 어떻게 처리할지)의 분리로 자율성이 증대한다.

ex) 커피 제조 → 커피 머신으로도 할 수 있고 핸드 드립으로도 할 수 있다.

객체지향 정리

  1. 협력, 역할, 책임
  2. 자율적인 객체들의 공동체
  3. 자율적인 객체는 상태와 행위를 가진다.
  4. 메세지로 의사소통을 하고 메세지를 처리하는 방법(메서드)는 자유롭게 선택한다.

객체를 지향하라 ≠ 클래스를 지향하라

현재 객체지향을 공부할 때 클래스가 너무 많이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클래스보다 객체의 협력구조와 책임을 더 중요시 살펴보아야 한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 개발자의 서재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 -1  (0) 2025.03.11
8/1일 독서 요약  (0) 2024.08.01
07/30일 독서  (0) 2024.07.30
독서3일차 (객체, 상태, 행동)  (0) 2024.07.23
독서 1일차  (0) 2024.07.16
'📚 개발자의 서재/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8/1일 독서 요약
  • 07/30일 독서
  • 독서3일차 (객체, 상태, 행동)
  • 독서 1일차
l'avenirJun
l'avenirJun
  • l'avenirJun
    오늘도 꾸준히 개발
    l'avenirJun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N
      • 📚 개발자의 서재 N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Good Code, Bad Code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N
      • 🔧 트러블 슈팅
      • Java
      • Spring
      • 운영체제
        • 공룡책 학습
      • 알고리즘
      • GIT
      • 면접 지식
      • Spring 단기심화 2기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티스토리챌린지
    오블완
    리포지터리
    타입
    협력
    코드 계약
    specification
    역할
    캡슐화
    DIP
    책임-주도 설계
    도메인 모델
    애그리거트 루트
    책임
    애그리거트
    추상화
    인터페이스
    유스케이스
    매핑 구현
    코딩테스트
    메시지
    코드트리
    객체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표현 영역
    모듈화
    코딩트리조별과제
    good code bad code
    가독성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l'avenirJun
독서 2일차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