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포스팅은 조영호의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P.34~42)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메서드와 자율성
메서드(method)
객체가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메시지를 수신한 객체가 실행 시간에 메서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구분 짓는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메시지와 메서드 분리는 객체의 협력에 참여하는 객체들 간의 자율성을 증진시킨다. 즉, 외부 요청이 무엇인지를 표현하는 메시지와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인 메서드를 분리하는 것은 객체의 자율성을 높이는 핵심 메커니즘이다.
객체지향의 본질
객체를 지향하라
객체지향의 중심에는 클래스가 아니라 객체가 위치하며, 중요한 것은 클래스의 정적인 관계가 아니라 메시지를 주고받는 객체들의 동적인 관계다.
이상한 나라의 객체
객체지향과 인지 능력
인간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인지 능력을 이용해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객체를 식별하고 분류함으로써 세상을 이해한다. 객체지향이 세상을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객체들로 분해할 수 있는 인간의 기본적인 인지 능력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객체지향 패러다임은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객체들이 모여 현실 세계를 이루는 것처럼 소프트웨어의 세계 역시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객체들이 모여 이뤄져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현실 세계와 소프트웨어 세계 사이의 유사성은 여기까지 일뿐이다. 객체지향의 패러다임의 목적은 현실 세계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 개발자의 서재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이상한 나라의 객체 -3 (0) | 2025.03.16 |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이상한 나라의 객체 -2 (0) | 2025.03.15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 -3 (0) | 2025.03.13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 -2 (0) | 2025.03.12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 -1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