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포스팅은 최범균 작가님의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P.94~96)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
모듈 구성
아키텍처의 각 영역은 별도의 패키지에 위치한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영역별로 모듈이 위치할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다.
도메인이 크면 하위 도메인으로 나누고 각 하위 도메인마다 별도 패키지를 구성한다.
도메인 모듈은 도메인이 속한 애그리거트를 기준으로 다시 패키지를 구성한다
모듈 구조를 얼마나 세분화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해진 규칙은 없다. 한 패키지에 너무 많은 타입이 몰려서 코드를 찾을 때 불편한 정도만 아니면 된다.
각 영역마다 나누거나(첫 번째 그림) 도메인 기준으로 별도의 패키지를 만든 경험은 있었어도 도메인 내부에서 애그리거트 기준으로 나눈 적은 없었다. 기획할 때 애그리거트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였다. 앞으로는 기획부터 애그리거트까지 확실하게 논의해서 이를 코드에 반영하면 조금 더 도메인 주도 설계에 가까워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 개발자의 서재 >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DD] 애그리거트 -2 (0) | 2025.04.27 |
---|---|
[DDD] 애그리거트 -1 (0) | 2025.04.26 |
[DDD] 아키텍처 개요 -4 (0) | 2025.04.24 |
[DDD] 아키텍처 개요 -3 (0) | 2025.04.24 |
[DDD] 아키텍처 개요 -2 (0) | 2025.04.22 |